스타일리스트의 세계
스타일리스트의 세계
그렇지만 스타일리스트의 진정한 역할은 ‘흥행사(Showman:興行士)’라고 보는
관점이 최근의 추세를 반영한 측면이 강하다.
유명 연예인이 혼자의 힘으로 자신의 스타일을 정립해 성공하기는 어려운
것처럼, 스타일리스트도 혼자만의 힘으로 개성 있는 스타일을 창출하는 것은
쉽지 않다.
1943년 미국 뉴욕에서 시작된 ‘패션 위크’의 처음 명칭이 ‘프레스 위크(Press
Week)’였던 데서, 두 용어를 혼동해 사용하는 실수가 간혹 나타나고 있다.
패션을 주제로 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둘은 분명하게 다른 개념이다.
헤어스타일은 모델의 전체적인 룩을 완성하는 천연의 요소다. 스타일리스트는
클라이언트의 얼굴 형태, 직업, 의상 스타일, 이벤트 목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헤어스타일을 선택한다. 그러나 남성과 여성의 접근 방식에서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지구상의 그 어떤 학문보다 가장 현실 친화적인 분야가 스트일리스트의
패션학이다.
흔히 이런 일을 총괄하는 사람을 디렉터라고 하지만, 스타일리스트 혹은
코디네이터가 총괄할 수도 있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디렉터가 에디터와
스타일리스트를 겸하는 게 흔한 일이다.
새로운 컬렉션과 제품을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 룩북에서 스타일리스트는
모델의 의상과 액세서리를 선택하고, 촬영 콘셉트에 맞는 룩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스타일리스트의 역할은 재능 있는 연예인 각각의 개성을 뚜렸하게 했으며,
결국 한류라는 새로운 물결을 탄생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게 됐다.
'스타일리스트의 세계'
판매처
책의 형태:PDF.POD | 출판사:북두문학
교보문고
예스24
알라딘
책, '스타일리스트의 세계' 중
목차
-
제 1 장 스타일리스트의 정의
- 스타일리스트란 무엇인가? 17
-
대표적인 스타일리스트 업무 20
-
패션 스타일링 21
-
헤어와 메이크업 스타일링 23
-
개인 이미지 스타일링 26
- 이미지 분석
- 스타일 제안
- 이미지 유지 및 관리
-
패션 트렌드 분석 28
-
심화: 패션 화보 스타일링의 과정 31
- 콘셉트 개발
- 의상 및 액세서리 선택
- 모델 선정
- 헤어 및 메이크업 스타일링
- 세트 디자인
- 촬영 감독
- 후처리
-
화보의 기능적 분류 35
- 패션 에디토리얼
- 뷰티 에디토리얼
- 창의적 에디토리얼
- 룩북
- 트렌드 리포트
- 제품 리뷰
- 인터뷰
- 비하인드 더 씬 스토리
- 세계 최초의 패션 잡지와 스타일리스트 38
- 본격적인 패션 잡지의 등장 39
- 스타일리스트와 코디네이터 42
- 한국과 미국의 스타일리스트 43
- 한국형 스타일리스트의 조건 45
-
스타일리스트 어시스트의 세계 46
- 스타일리스트 어시스트란 무엇이고 왜 필요한가 46
-
스타일리스트 어시스트의 역할 47
- 의상 및 액세서리 준비
- 피팅 보조
- 현장 세팅
- 리서치
- 기타 업무
-
스타일리스트 어시스트 입문 전 준비 사항 48
- 패션 관련 학위 또는 교육
- 패션 센스
- 세부 사항에 대한 주의력
- 체력 및 인내력
- 외국어
-
어시스트의 업무 실제 사례 50
- 패션 관련 학위는 필요한가? 52
-
성공적인 스타일리스트의 조건 55
- 포트폴리오 제작
- 개인 프로젝트
- 트렌드 연구
- 네트워킹
- 피드백 수용
- 멘토링
-
클라이언트 관리 57
-
끊임없는 자기 개발 59
- 교육 프로그램 참여
- 업계 출판물 읽기
- 워크숍 및 세미나 참석
-
제 2 장 스타일리스트의 업무
- 스타일리스트 업무의 기술적 접근 63
-
의상 선택의 기술 64
-
코디네이션 기술 66
-
헤어 스타일링 기술 67
-
메이크업 스타일링 기술 68
- 기초 메이크업
- 컬러 메이크업
- 테마 메이크업
- 변신 메이크업
- 보완 메이크업
-
촬영 협력과 기획 능력 69
- 테마와 컨셉 설정
- 의상과 소품 준비
- 포토그래퍼와의 협력
- 모델 관리
- 피드백 반영
- 결과물 평가
-
트렌드 분석 71
-
스타일리스트의 필수 도구 72
- 의상 관리 도구
- 액세서리 정리 도구
- 헤어 도구
- 메이크업 키트
-
제 3 장 스타일링
-
스타일링의 종류 75
- 연예 인터뷰 스타일링
- 동영상 플랫폼 스타일링
- 웨딩 스타일링
- 프로모션 및 이벤트 스타일링
- 패션쇼 스타일링
- 광고 잡지 화보 스타일링
- 뷰티 스타일링
- 방송 무대 스타일링
- 퍼스널 스타일링
- 이커머스 스타일링
-
심화: 방송 무대 스타일링 78
- 방송 무대 스타일링의 이해 78
-
가수 스타일링의 분류 80
-
사례: 앨범 재킷과 뮤직비디오 촬영에서의 스타일링 과정 82
- 미팅 및 브리핑
- 리서치 및 아이디어 개발
- 의상 선택 및 준비
- 촬영
- 후처리
- 심화: 뷰티 스타일링 84
-
사례: 패션쇼에서의 뷰티 스타일링 과정 86
- 초기 미팅 및 컨셉 논의
- 스타일링 팀 구성
- 스타일링 컨셉 개발
- 리허설 및 최종 조정
- 패션쇼 당일 준비
- 모델 스타일링
- 패션쇼 진행
- 마무리 및 평가
-
제 4 장 코디네이션
- 코디네이션 기초 91
-
배색 코디네이션 92
-
소재 코디네이션 97
-
액세서리 코디네이션 103
-
코디네이션의 기능적 분류 105
- 피스 코디네이션 (Piece Coordination)
- 멀티 코디네이션 (Multi Coordination)
- 레이어드 코디네이션 (Layered Coordination)
- 플러스 코디네이션 (Plus Coordination)
- 크로스 오버 코디네이션 (Crossover Coordination)
- 시즈너블 코디네이션 (Seasonable Coordination)
- 어케션 코디네이션 (Occasion Coordination)
- 오버사이즈 코디네이션 (Oversize Coordination)
- 모노크롬 코디네이션 (Monochrome Coordination)
-
제 5 장 코디네이션의 유형
-
코디네이션의 유형별 분류 117
- 클래식 (Classic) 스타일
- 모던 (Modern) 스타일
- 매니쉬 (Mannish) 스타일
- 스포티브 (Sportive) 스타일
- 아방가르드 (Avant-Garde) 스타일
- 에스닉 (Ethnic) 스타일
- 페미닌 (Feminine) 스타일
- 엘레강스 (Elegance) 스타일
- 로맨틱 (Romantic) 스타일
- 스트릿 (Street) 스타일
- 에코 (Eco) 스타일
-
제 6 장 스타일리스트와 사회
-
스타일리스트의 네트워크 구축 131
- 패션 하우스와의 협력: 협찬 131
- 유명 인사와의 관계 구축 132
- 업계 네트워킹 전략 132
- 스타일리스트의 영향력 134
- 스타일리스트의 미래 136
저자 소개
저자 소개: 이준엽. 건국대학교 철학과. 한국미술협회 회원이며, 북두문학의
발행인이다. 저서로 <미술 디자인 입문 ‘색상 기초’>, <사일런트 세일즈맨
‘컬러’>, <점>, <소설 알라딘>, <아프리카 동화>, <마한-잊혀진 역사의
조각>, <사람돈물>, <소월맛집 ‘진달래꽃’>, <물라 나스레딘 호자-21세기
트릭스터의 지혜> 등이 있다.